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고용위기가 우려되는 지역(지방정부)이 주도적으로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해당 고용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고용노동부)가 재정 및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지방정부 대상 공모사업)
인천광역시 ‘ 뿌리산업 도약, 더 좋은 내일(JOB) ’
인천의 주력산업인 ‘제조업(뿌리산업)’의 고도화/첨단화 지원을 통해 뿌리기업의 자발적 고용창출 환경조성 및 관련분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사업 구성·제안 / 선정
인천뿌리산업 지속 가능한 고용창출 선순환 구조확립
뿌리산업 지원신규 일자리 창출
1. 뿌리기업 컨설팅 지원
2. 뿌리기업 성장장려금 지원
3. 뿌리산업 선도.모듈형 기업지원
4. 대.중.소 협력모델 기반 현장애로 개선 지원
구직자 지원안정적 직업확보
1. 신규입직자 경력형성장려금 지원
2. 뿌리산업 구직자 및 재직자 역량강화 지원
3.뿌리기업 근로환경개선 지원
자생적 뿌리산업생태계 조성
뿌리산업 고용안정 기반마련
1. 뿌리산업 고용안정 거버넌스 운영
2. 뿌리산업 일자리센터 운영
3. 뿌리산업 실태조사 및 정책연구 실시
- 기존 일자리 사업
-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
지원 대상
시·군·구 등 자치단체별
기존 일자리 공모사업
지역 노동시장 권역별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
지원 기간
단년도 위주
기존 일자리 공모사업
2 ~ 5년간(중장기)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
심사 대상
단기 프로그램 사업계획
기존 일자리 공모사업
중장기 지역 일자리 종합계획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
중앙정부 역할
재정지원
기존 일자리 공모사업
재정 및 컨설팅 지원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인천지역 주요 추진방향
기존 위기산업 고도화를 통한 고용창출
-
인천광역시
남동구·부평구·서구
컨소시엄 뿌리산업 -
인천 뿌리산업 고용창출 선순환 구조 확립
- 뿌리기업 코디 운영 및 기술혁신 컨설팅·공정개선
- 신규 입직자 경력 형성장려금 지원
- 훈련을 통한 구직(근로)자 역량 강화
- 뿌리기업 인식개선 및 맞춤형 취업지원
- 근로환경개선 지원
-
5년간 총 사업비 363억원
사업성과 내실화를 위한 추진방향 설정 및 세부사업 구성
연간 추진성과 환류 및 뿌리산업 고용위기에 대한 재진단, 이해관계자 대상 정책수요조사 결과 반영
인천 뿌리산업의 고용위기
뿌리산업의 붕괴 및 대량 실직 위기 도래
- 뿌리기업 고용여력 감소
- 사업장 노후화·열악
- 청년 구직자 입직기피
- 뿌리기술의 단절·고령화
- 뿌리기업 경쟁력 약화
고용위기 원인 분석
- 뿌리기업의 고용여력 감소
-
3D 산업 이미지 - 취업 기피
(청년구직자의 입직 기피) - 일자리 미스매치
추진방향 설정 및 정책과제 도출
-
기업성장을 위한 다각화 지원을 통해
자발적 고용창출 환경 조성- 뿌리기업 판로지원 / 사업화 지원
- 생산애로 해소지원 / 기술경쟁력 강화 지원
- 국가 주요정책 연계 뿌리산업 고도화 / 첨단화 지원
-
근로환경 개선 및 미스매칭 요소 해소지원으로 청년선호 일자리 전환
- 뿌리기업 / 집적시설 대상 근로환경 개선 지원
- 수작업 공정 / 위험공정 등에 대한 안정성 확보 지원
- ‘임금 미스매칭 요소’ 해소를 위한 고용장려금 지원
-
맞춤형 채용 / 취업지원 서비스 운영 및 지역
고용안정 거버넌스 운영- 뿌리산업 인식개선 /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